본문 바로가기

내맘대로의 구분2085

How realize Gateway of current Network 현 네트워크의 Gateyway 알아내기 route 명령은 Kernel 버전에 따라 정보를 제대로 보여주지 못함. 버전에 관계 없이, "netstat -rn" 또는 "ip route"를 통해 확인이 가능함 RHEL 7.5 # netstat -rn Kernel IP routing table Destination Gateway Genmask Flags MSS Window irtt Iface 0.0.0.0 192.171.6.1 0.0.0.0 UG 0 0 0 eno1 192.171.6.0 0.0.0.0 255.255.254.0 U 0 0 0 eno1 169.254.0.0 0.0.0.0 255.255.0.0 U 0 0 0 eno1 192.168.122.0 0.0.0.0 255.255.255.0 U 0 0 0 vir.. 2018. 9. 21.
RHEL/Short Durations of Throttling (TCC Activation) Linux 운영 중 아래와 유사한 이벤트가 발생될 수 있다. -------------------------------------------------------------- Jun 20 10:43:56 localhost kernel: CPU57: Package temperature above threshold, cpu clock throttled (total events = 1) Jun 20 10:43:56 localhost kernel: CPU57: Core temperature/speed normal Jun 20 10:43:56 localhost kernel: CPU57: Package temperature/speed normal ---------------------------------------.. 2018. 9. 21.
RHEL 6.x/DL20 Gen9/INTR-REMAP event 발생 RHEL 6.7을 Basic Server package로 설치 후 콘솔 화면에 아래와 유사/동일 메시지를 지속 기록하는 현상이 확인됨 ---------------------------------------------------- dmar: DRHD: handling fault status reg 2 dmar: INTR-REMAP: Request device [[00:00.0] fault index 14 INTR-REMAP:[fault reason 38] Blocked an interrupt request due to source-id verification failure ---------------------------------------------------- [00:00.0] 장치는 Intel의 S.. 2018. 9. 21.
2018-9-14 ​​​​ Thirsty Monk 오랜만에 팀원들과 이태원 나들이~ 맛있는 음식과 멋들어진 풍경을 감상할 수 있었다 1차에서는 1리터로 시작~ 귀욤귀욤한 잔 덕분에 한참동안 웃을 수 있었다 2018. 9. 14.
ProLiant/Linux 운영 중 MCE log 발생 MCE 관련 로그는 OS의 메모리 모니터링 기술 EDAC 기능에 의해 기록 되는데, 이 기술은 하드웨어의 메모리 모니터링 기술보다 정밀하지 못하다. 간혹 실제 오류가 없음에도 OS의 EDAC의 민감한 엔진에 의해 오류를 기록하는 경우가 있다. 메시지 발생 시 하드웨어 정보(IML, Front LED)를 통해 중복 확인하여 이상이 없는 경우 해당 메시지는 무시하거나, OS의 MCE 감지 기능을 비활성화 하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 Advisory: (Revision) ProLiant G6,G7, Gen8 and Gen9 Servers - Correctable Machine Check Errors That Do Not Require Customer Action May Erroneously Be Logged t.. 2018. 9. 14.
What is PMEM(Persistent Memory) PMEM(Persistent Memory)가 무엇인지... PMEM은 메모리 속도를 이용하고자 하는 스토리지(Storage, 저장장치) 기술이다. 저장 장치들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그 I/O 속도도 비약적으로 빨라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 CPU의 속도에 절대적으로 이르지 못한다. (너무도 부족하다) PMEM은 그러한 속도를 극복해 보고자, CPU에 가장 근접한 외부 장치인 메모리 I/O 기술을 이용한 저장장치 기술이다. (System에 말그대로 Disk(Storage)로 인식된다) HPE에서는 PMEM 제품을 2가지 라인업으로 제공하고 있다. (아직 시장에 공급되지 않은 3D Xpoint가 추가되면 3가지로 ...) 첫 번째가 NVDIMM이다. NVDIMM은 일반 DIMM에 NAND Flash를 추가.. 2018. 9. 6.
Ani - The Boy and The Beast (괴물의 아이) 괴물의 아이라는 작품을 미루고 미루다 보았다... 한 아이에게, 자라면서 주변 환경이 줄 수 있는 영향에 대하여 많은 생각을 하도록 해주는 작품이다. 아버지라는 존재가 줄 수 있는 가장 큰 것은 아이가 세상을 살아감에 고됨을 버텨낼 수 있는 작지만 큰 힘인듯하다. 처음에는 그저 따라만 하다가 더 나은 존재가 되어버리는 것이 아이인가 보다 ... 난 어떠한가 또 그렇게 되어 줄 수 있을까 ... 오랜만에 많은 고민이 생기는 작품이었다 .... 이미지 출처: 인터넷 2018. 8. 31.
Intel Microprocessor 보안 취약 이슈 - Foreshadow Intel Microprocessor 보안 취약 이슈 이슈 및 원인 Foreshadow CVE-2018-3615 - L1 Terminal Fault – SGX Foreshadow-Next Generation(NG) CVE-2018-3620 - L1 Terminal Fault - OS, SMM CVE-2018-3646 - L1 Terminal Fault - VMM Intel Software Guard Extensions (SGX) 기능은 Intel에서 2015년경 Skylake platform에 적용한 보안 관련 기능으로, Firmware 통해, 특정 Application에서 사용 중인 Data를 다른 Application에서 침입할 수 없도록(Sandbox 역할) 해주는 기능. 기존에 알려진, Meltd.. 2018. 8. 23.
Microprocessor보안 취약 이슈 - Meltdown, Spectre Intel/AMD/ARM, Microprocessor 보안 취약 이슈 이슈 및 원인 • CVE-2017-5753: Known as Variant 1, a bounds check bypass • CVE-2017-5715: Known as Variant 2, branch target injection • CVE-2017-5754: Known as Variant 3, rogue data cache load • CVE-2018-3639: Known as Variant 4, Speculative Store Bypass • CVE-2018-3640: Known as Variant 3a, Rogue System Register Read Meltdown (Variant 3), CPU의 캐시 메모리는 기본적으로 외부에서.. 2018. 7. 9.
반응형